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연산동 거제동 7세 낱글자 한글수업으로 한글떼기
    한글수업/부산 2024. 7. 29. 16:48
    728x90
    반응형
    SMALL

    낱글자 수업으로 한글 배우기

    7세 아이들의 한글 교육은 낱글자 수업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낱글자는 한글의 기본 단위로,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이러한 낱글자를 배우면 아이들은 한글의 구조를 이해하고, 단어와 문장을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먼저, 자음과 모음을 각각 따로 배우고, 그 다음에 두 개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글자를 만드는 방법을 배웁니다. 이때, 아이들이 좋아하는 동물, 사물, 음식 등의 단어를 활용하여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들이 배운 글자를 일상 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와 함께 마트에 가서 상품의 이름을 읽어보거나, 가족 사진을 보면서 이름을 써보는 등의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퍼즐 맞추기, 블록 쌓기, 그림 그리기 등의 놀이를 하면서 아이들은 즐겁게 한글을 배울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칭찬과 격려를 통해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낱글자 수업과 통글자 수업의 차이

    한글 교육 방식에는 크게 낱글자 수업과 통글자 수업이 있습니다. 둘 다 한글을 가르치는 방법이지만, 접근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낱글자 수업 : 자음과 모음을 개별적으로 가르치고, 이를 조합하여 글자를 만드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이렇게 배우면 한글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고, 단어와 문장을 읽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또 읽고 쓰는 능력을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통글자 수업 : 단어 자체를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하고, 이를 통째로 외우는 방식 입니다. 이미지와 함께 기억하기 때문에, 처음 한글을 배우는 아이들에게는 쉬울 수 있지만 ,한글의 구조를 이해하기 어렵고, 읽기와 쓰기 능력을 동시에 향상 시키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낱글자 학습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과 학습 효과

    위에서 언급했듯이 낱글자 학습은 자모음절식 학습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어린아이들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이러한 학습 방식은 몇 가지 주요 장점과 학습 효과를 제공합니다.

    첫째, 낱글자 학습은 학생들이 기초적인 문자 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각 글자가 어떻게 구성되고 발음되는지 배우면서 학생들은 기본적인 문해력 기술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나중에 복잡한 단어나 문장을 이해하는 데 기반이 됩니다.

    둘째, 낱개로 글자를 공부하면 학생들은 음소 인식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음소 인식은 소리를 개별 음소로 분해하고 재결합하는 능력으로, 읽기와 쓰기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셋째,이러한 학습 방식은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각각의 글자를 이해함으로써 학생들은 새로운 단어를 만들고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갖게 됩니다. 

    넷째,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감을 키울 수 있습니다. 작은 성공을 경험하면서 학생들은 배우고 성장하는 데 자신감을 갖게 되며 그것은 그들의 학습 여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놀이식 수업으로 배운 내용 글자 복습하기

    배운 내용을 재미있게 복습하는 것은 아이들의 학습에 매우 중요합니다. 놀이식 수업은 게임, 노래, 미술 활동 등을 활용하여 아이들이 배운 글자를 즐겁게 복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배운 글자를 이용해서 빙고 게임을 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각자 배운 글자를 적어서 빙고판을 만들고, 서로 번갈아가며 글자를 불러가며 빙고를 완성합니다. 이 게임을 통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글자를 복습하고, 친구들과 함께 놀며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노래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배운 글자를 가사로 넣어서 노래를 만들어 부르면서 아이들은 리듬과 함께 글자를 복습할 수 있습니다. 또 글자를 그림으로 그려서 맞추는 게임을 하거나 배운 글자를 활용해 끝말잇기나 단어 만들기 놀이를 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렇게 놀이를 통해 배운 글자를 복습하면 아이들은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지할 수 있고 스트레스 없이 학습내용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자녀 한글 수업을 직접 가르치기 어려운 이유

    한글 교육은 부모님들이 자녀에게 직접 가르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항상 쉬운 일은 아닙니다. 몇 가지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이유는 시간과 노력의 부족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 자녀와 함께 앉아서 한글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또 꾸준히 지속적으로 가르쳐야 하기 때문에 도중에 포기하기 쉽습니다.

    두 번째로는 가르치는 기술의 부족입니다. 한글 교육은 단순히 글자를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인지 발달과 언어 발달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지식과 기술을 갖춘 부모님은 많지 않을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아이들의 학습 성향과 맞지 않는 방식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아이마다 집중력, 학습 스타일, 선호하는 학습 방법이 다릅니다. 그런데 부모님이 자신의 방식으로만 가르치려고 하면 아이가 지루해하거나 어려워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가르치는 과정에서 갈등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가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연산동 거제동 7세 낱글자 한글수업으로 한글떼기

    7세는 한글떼기에 아주 적합한 나이입니다. 이 시기엔 아이들의 언어능력이 빠르게 발달하며, 글자에 대한 호기심도 커집니다. 그래서 이 시기에 한글을 가르치면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가장 좋은 방법은 낱글자부터 가르치는 것입니다. 통문자로 가르치는 것보다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글의 원리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아이가 좋아하는 사물이나 동물 등의 단어를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그 단어의 첫 글자부터 차례대로 가르칩니다. 이때, 글자의 모양과 소리를 함께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사과'라는 단어를 가르친다면, '사'라는 글자의 모양과 소리를 함께 알려줍니다.

    놀이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한글 카드를 이용해서 게임을 하거나, 한글 퍼즐을 맞추는 등의 놀이를 통해서 아이가 즐겁게 배울 수 있도록 해줍니다.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배운 것을 자랑스러워하고, 더 배우고 싶은 마음이 생기도록 해줍니다. 

    이렇게 꾸준히 하다 보면 어느새 한글을 읽고 쓸 수 있게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Designed by Tistory.